공돌이 작업실26 갑자기 클로저가 땡기네 스택오버플로우에서 진행했었던 서베이인데, (https://insights.stackoverflow.com/survey/2019) 절대적인 지표로 여길 수는 없지만, 가장 고연봉에 찍혀있는 Clojure클로저 란 언어가 뭔가 싶어 찾아보게 되었다. 평생 자바 아님 C언어만 봐왔었고 새로운 언어에 딱히 관심도 잘 안 가다가.. 이렇게 훅 관심을 끌게 되었으니 함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. 객체지향도 아직 어려워하는 나인데, 이런 생소한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을까? “리스프는 그것을 마침내 손에 넣게 되었을 때 경험하게 되는 심오한 깨달음을 위해서라도 배울 가치가 있다. 리스프를 이용할 일이 그렇게 많지 않다고 할지라도 그 경험은 그 자체만으로도 당신을 훨씬 훌륭한 프로그래머로 만들어 줄 것이다.. 2019. 5. 4. 데이터그립 datagrip keyword uppercase/lowercase setting 데이터그립에서 키워드는 대문자로 써졌으면 좋겠다- 하는 설정 Preferences - Editer - Code Style - SQL 사진에 선택되어있는 keywords 옆에 눌러보면 3가지 선택 사항이 있다.(화살표) Do not change To Upper To Lower 원하는걸로 선택 ~_~ 2019. 4. 11. 2018 회고라. 준비물: 열린 마음, 나아질 수 있다는 믿음 1) 2018년 회고 1.1) 시간별/사건별로 다음 내용들을 나열하기 - 좋았던 점, 잘했던 점스스로 무얼 개선하고 개발할지 직접 찾아다니고 해결해보는 오너마인드로 일하기 -> 책임감 상승 - 아쉬웠던 점다양한 일을 못해본것.팀장 역할의 중요성을 알게됨(일의 분배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족한 주니어케어 등) 1.2) 할 수 있는 것 나열하기 - 좋았던 점, 잘했던 점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 이끌어내기:0 - 아쉬웠던 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이끌어내기현명한 팀장님이 왔으면..(best case)최소한의 관심이랄카..하고 있는 일에만 책임을 느끼는게 아니라 동료에게도 조금은..? 1.3) action item 선정 - 구체적/측정가능/달성가능/관련있는/.. 2019. 1. 3. 이직준비 여기어때에서 듣게되는 면접 질문 http://www.bloter.net/archives/325304 2019 카카오 신입 공채 1차 코딩 테스트 문제 해설http://tech.kakao.com/2018/09/21/kakao-blind-recruitment-for2019-round-1/ 2018. 12. 1. 에자일 IT회사에서 에자일 에자일 하는데 그게 뭘까. 그리고 막상 에자일을 적용해도 잘 동작하지않는다는 느낌이 든다. 뭘까? 그러다 팀에서 이런 제목의 글이 공유되었다. [왜 애자일은 동작하지 않을까?(Why Isn’t Agile Working?)]https://www.vobour.com/%EC%99%9C-%EC%95%A0%EC%9E%90%EC%9D%BC%EC%9D%80-%EB%8F%99%EC%9E%91%ED%95%98%EC%A7%80-%EC%95%8A%EC%9D%84%EA%B9%8C-why-isn%E2%80%99t-agile-working번역글 https://hackernoon.com/why-isnt-agile-working-d7127af1c552 원문 2018. 11. 30. MAC에 환경변수 추가하기 [MAC에 환경변수 자바 톰캣 메이븐 등 추가하기] 윈도우만쓰다가 회사와서 처음 맥을 쓰게되었다.개발환경 세팅하는데 윈도우에 비해 심플한 느낌인데 다 하나하나 찾아보고 하느라.. 끙. 자바도 뭔가 읏 엇 하고 되어버려서 위치를 못찾았는데 이런 위치였다.. (위치찾는건 어떻게 하는거지 )/Library/Java/JavaVirtualMachines/jdk1.8.0_171.jdk/Contents/Home 메이븐- 설정하고 환경변수 추가하는 방법이 나와있긴하다 https://maven.apache.org/install.html 참고+)자바 톰캣 메이븐 설치 및 환경변수 잡는 글. http://cbsm.tistory.com/3 여담+)그냥 이거 하면서 든 생각은.. 대학 다니면서 유일하게 쓸모있게 익힌게 vi 에.. 2018. 9. 19. 이전 1 2 3 4 5 다음